구글 검색 상위 노출 도메인 요소(Domain Factors)
- 도메인 사용 기간
많은 검색엔진 최적화 전문가들은 GooGle이 본질적으로 이전 도메인은 "신뢰"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Google의 John Mueller는 도메인 사용 기간은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라고 말했습니다.
참고는 하지만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다. 1년된 도메인이나 6개월된 도메인이나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 키워드가 최상위 도메인에 포함
도메인 이름에 키워드가 있다고 해서 SEO가 크게 향상 되지는 않지만 어느정도는 작용한다고 합니다.
- 도메인 등록 기간
Google특허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 되어 있습니다.
"가치 있는(합법적인) 도메인은 종종 몇 년 선불로 지불되는 반면, 불법적인 도메인은 1년 이상 사용되는 경우가 드뭅니다. 따라서 향후 도메인이 만료되는 날짜는 도메인의 정당성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하위 도메인 키워드
MOZ 전문가 패널은 하위 도메인에 나타나는 키워드가 순위를 높일수 있다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합니다.
- 도메인 기록
소유권이 불안정 하거나 여러 번 삭제된 사이트는 Google에 사이트 기록을 "재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경우에 따라 불이익을 받은 도메인을 사용할경우 새 소유자에게도 불이익이 이전 될 수도 있습니다.
- 정확하게 키워드와 일치하는 도메인(Exact Match Domain)
키워드와 완벽하게 일치하는 도메인 직접적인 SEO이점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러나 EMD가 너무 낮은 품질의 사이트의 경우 EMD업데이트에 취약합니다.
예를 들면 MLB모자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이름을 MLBSHOPPING.CO......식으로 사용한다고 해서
검색순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Google는 발표 하였지만 아직까지는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 있습니다.
- 후이즈(Whois) 비공개
후이즈(whois)란?
IP주소, AS(자율시스템)번호, 도메인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프로토콜
후이즈정보를 "비공개"로 설정할 경우 무언가 "숨길 것"이라는 신호가 되서 노출에 불리 할수 있습니다.
- 패널티를 가진 도메인 소유주
구글이 스팸 발송자로 식별하는 경우 해당 개인이 소유한 다른 사이트도 조사대상이 되며 검색노출에 불리합니다.
- 국가 도메인
국가 최상위 도메인(kr, cn, pt, ca, jp, us등)인 경우에 해당 국가에서는 검색노출이 유리 할수 있지만 전세계적으로는 불리하게 작용할수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 블로거나 웹사이트 운영자들은 글로벌 보다는 국내 위주의 사이트를 운영하는 만큼
".COM" 같은 도메인 보다는 co.kr등이 붙은 국가 도메인을 갖는 방법이 국내에서는 유리할수 있다고 봅니다.
다만 글로벌로 운영하고자 한다면 조금 고민해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 > 디지털노마드의 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N잡의 시대 부수입 만들기, 구매대행 소싱 프로그램 사용 후기 (0) | 2023.08.06 |
---|---|
N잡의 시대 부수입 만들기, 온라인판매 및 전자상거래에 관한 팁 (0) | 2023.07.05 |
N잡의 시대 부수입 만들기, 수익형 부업(투잡) 팟캐스트 및 운영가이드 팁 (0) | 2023.06.21 |
N잡의 시대 부수입 만들기, 수익형 부업 SNS로 인플루언서의 활동 팁 (0) | 2023.06.21 |
N잡의 시대 부수입 만들기, 수익형 부업(투잡) 유튜브제작 및 운영가이드 팁 (0) | 2023.06.15 |